반응형

전체 글 362

나보다 뛰어난 사람과 함께해야하는 이유 (feat. 단순존재효과)

나보다 뛰어난 사람과 함께해야하는 이유 (feat. 단순존재효과)누가 옆에 있기만 해도 일 수행에 영향을 준다.살아가다보면 어떤이는 옆에 있기만 해도 주변 사람들을 탁월하게 만들고, 어떤이는 존재만으로도 주변 사람들을 주저않게 만듭니다. 이에 대한 아주 흥미로운 연구가 있습니다. 2008년 세상을 떠난 사회심리학자 대가 '로버트 자이언스 교수' 아래에서 포스트닥 과정을 밟고 있던 젊은 연구자가 이 사실을 자이언스 교수를 통해서 증명했습니다. 그 연구자는 대학원생들에게 관심있는 연구 주제를 적어보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그 주제가 얼마나 좋은지를 스스로 평가하게 했습니다. 그런데 그 질문을 하기 전에 두 그룹으로 나누고 한 그룹에는 자이언스 교수의 찡그린 얼굴 사진을 아주 빠르게 화면에 제시하였습니다. 그 ..

경제 이모저모 2023.12.12

좋은 사람 찾는 방법 (feat. 프레임)

좋은 사람 찾는 방법(feat. 프레임)자기중심적인 프레임인간은 본인이 이성적이고 냉철하다고 본인을 평가합니다. 하지만 "뭐 눈에는 뭐만 보인다"라고 결국엔 자신의 잣대로 남을 평가합니다. 이를 책 '프레임'에서는 자기중심적인 프레임이라고 명명합니다. 이는 사람들은 자신의 이미지를 타인에게 투사하는 버릇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타인을 평가하거나 첫인상을 규정할시에 얼마나 똑똑한가, 얼마나 능력이 있는가로 평가합니다. 반면에 어떤사람은 '저 사람은 좋은 사람이야 따뜻한 사람이야' 라고 평가합니다. 이는 타인을 평가할때 능력차원에서 평가하는 사람은 자기 자신을 평가할때도 능력을 우선시 하고 남을 평가할때도 동일한 차원에서 평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반면에 자신을 평가할시 '따뜻한 심성'..

경제 이모저모 2023.12.11

돈에 대한 3가지 교훈 (feat. 짐 로져스)

돈에 대한 3가지 교훈(feat. 짐 로져스)세계 3대 투자자 짐 로져스의 2020년 저서 '돈의 미래'를 읽고 우리가 꼭 가져가야할 돈에 대한 교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교훈1. 타인의 의사 결정에 관여하지 마라세계 적인 투자자 워런버핏의 경우 ' 세계를 위해서 할 수 있는 최선의 일은 돈을 많이 벌어서, 그 돈을 사람들에게 베푸는 것이다.' 라고 말하지만, 짐 로져스의 경우 사람들에게 돈을 어떻게 써야하는지 가르치는 것은 크게 의미가 없다고 말합니다. 돈을 쓰는건 개인의 자유 이고 누구든 본인이 원하는 대로 사용하면 됩니다. 만약 다른 사람이 그의 자금으로 부터 돈을 어떻게 사용해야할지 알려주었는데 만약 그가 돈을 잃게 되면, 그는 분명히 당신을 탓하게 될 것입니다. 인간은 간사합니다. 이득을 보..

달러의 가치가 계속 떨어지는 이유

달러의 가치가 계속 떨어지는 이유 오늘은 무엇인가를 사거나 팔 때마다 당신의 지갑에서 출입하는 돈에 대해서 이야기하려 합니다. 우리는 때때로 '원화의 가치가 떨어졌다', '물가가 상승했다'등의 소식을 자주 접합니다. 이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보도록 하며, 앞으로도 돈의 가치가 떨어질 수 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통화량의 증가, 그리고 물가상승 돈은 화폐 자체로는 가치가 없습니다. 돈이 가치가 있는 이유는, 돈은 물건을 살 수 있는 '구매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이 구매력은 항상 일정하지 않고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떨어집니다. 이런 화폐의 구매력이 떨어지는 가장 주된 이유는 통화량의 증가 입니다.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하거나 통화를 발행함으로써 유통되는 통화량이 증가하면,..

경제 이모저모 2023.06.30

돈 많은 사람이 돈을 더 아끼는 이유 (feat. 성공도 승리를 맛본 사람이 하는 것이다)

돈 많은 사람이 돈을 더 아끼는 이유 (feat. 성공도 승리를 맛본 사람이 하는 것이다) 돈이 9500만원 있는 사람과 95만원 있는 사람중에 누가 50만원 짜리 청바지를 사입을까 통장에 9500만원 있는 사람이 있고, 95만원 있는 사람이 있다면 누가 외식 더 많이하고, 비싼 청바지를 사입을 것 같은지 생각해 봅시다. 앞에 있는 사람이 더 여유가 있어 보이니 외식이나 비싼 옷을 사는데 더 부담이 없을것 같지만 사실 현실세계에서는 후자의 사람이 돈 소비를 더 많이 합니다. 전자의 사람은 500만원만 더 모으면 앞자리가 바뀌지만, 후자의 사람은 열심히 아껴도 천만원을 만드는데도 아직 시간이 많이 걸립니다. 서울대생과 지방사립대의 학생중에 누가 더 열심히 공부를 할까 이것에 대한 답도 쉽습니다. 서울대생이..

경제 이모저모 2023.06.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