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62

쉬는 청년이 많아지는 이유(feat. 경제가 우리에게 주는 영향력)

쉬는 청년이 많아지는 이유(feat. 경제가 우리에게 주는 영향력)쉬었음 청년2024년 9월 통계청 발표 자료에서 15세 ~ 29세 청년 46만명이 일하지 않고 쉬고 있는것으로 나왔다. 이 통계가 처음 나온것은 2003년인데 그 당시에만 해도 20만명이었다. 20년 동안 쉬는 청년이 2배로 늘어난것이다. 그런데 더 큰 문제가 있다. 20년전과 비교하며 청년인구는 반으로 줄었다. 청년 인구는 반인데, 쉬는 청년은 2배로 늘어난것이다. 사실상 4배로 쉬는 청년이 늘어난 효과이다. 난 쉬고 싶지 않았다쉬는 청년이 급증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채용 환경이 열악해졌다. 정규직과 1년 이상 계약직을 합친 일자리를 상용직이라고 한다. 즉 이에 해당하지 않으면 계약직이나 일용직이라고 한다. 최근 상용직 고용은 10년만에..

경제 이모저모 2025.01.15

신년 재정적인 성장을 위한 고찰 5가지

신년 재정적인 성장을 위한 고찰 5가지1. 수입원 하나에 의존하지 마라자본주의 사회의 기본은 교환으로 이루어 진다는 것이다. 니가 일을 한다는 것은 너가 교환의 주체가 되는것이다. 너는 노동력을 제공하고 임금을 받는다. 대부분의 가난한 인간은 평생 자기 몸뚱아리 하나가 교환의 전부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좋은 직업이 성공이라고 생각하고 사는 어리석은 선택을 하게 된다. 몸은 영원히 최고의 상태를 유지 하지 않고 당신의 노동력의 가치는 점점 낮아진다. 당신의 당신의 몸 뿐만아니라 교환의 주체가 될 당신의 분신을 만들어야한다. 당신이 잠들때 일을 하지 못할때 당신을 위해 일을 하는 분신이 있어야하고 그 분신이 당신을 위해 돈을 벌어오게 해야한다. 2.부자처럼 보이려들지 마라부자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좋은 차 ..

인간은 가난하도록 만들어진 불량품이다.

인간은 가난하도록 만들어진 불량품이다. 무리짓는 행위는 인간에게 필수였다.인간은 무리짓고 살아야 생존이 가능했다. 과거 원시 시대에는 인간이 현대 사회 인간보다 더 외소했다. 오스트랄로피테쿠사, 호모 에렉투스 같은 경우 키가 1m~1.2m 남짓이었다. 현재 초등학생 수준의 키이다. 이런 인간은 힘이나 강한 발톱도 없었기에 생존을 위해서는 무리짓고 살아야했다. 무리짓고 사는 것은 이득이 크다. 동물을 사냥하여 식량을 얻을 가능성이 올라가고, 맹수를 만나도 몇명의 피해가 있을수 있지만 무리의 대부분은 생존을 한다. 무리에서 쫒겨난 원시인은 사형선고나 다름이 없다. 혼자서는 맹수를 상대할수 없으며, 사냥에 성공할 가능성도 매우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 시절 가장 강한 개인은 힘이 세고, 사냥을 잘하는 자 였을 ..

경제 이모저모 2024.12.15

장기적 목표 달성이 어려운 이유(feat.불변의 법칙)

장기적 목표 달성이 어려운 이유(feat.불변의 법칙) 장기적 목표 달성이 어려운 이유사람들은 장기적 목표 추구가 쉽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장기 전략으로 갈거야'라고 말하는 것은 에베레스트산 밑어서 꼭대기를 보면서 저기에 올라갈가야 라고 말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불변의 법칙에서는 이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장기전은 흔히 생각하는것 보다 훨씬 더 어렵다. 또 그렇기 때문에 더 많은 보상을 안겨준다.' 추구하는 모든것은 비용이 따른다. 하지만 사람들은 보통 장기 계획에 따르는 비용(필요한 기술, 정신력)을 과소 평가한다. 그리고는 그건 '니가 인내심이 부족한 탓이다'라고 말한다. 뭔가 장기적으로 계획하고 실행할때는 다음을 기역해야한다.장거리 달리기는 당신이 견뎌야할 단거리 달리기의 합이다...

사람을 쉽게 설득하는법 (feat. 사실보다 강력한 스토리의 힘)

사람을 쉽게 설득하는법 (feat. 사실보다 강력한 스토리의 힘)사람은 객관적 정보로 움직일까약 1500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타이타닉호의 침몰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하지만 4000명이 사망한 1987년 도냐파스호의 침몰을 기억하는 사람은 없다. 2002년 감비아 부근 르줄라호에서 1800명이 사망한 사실도 아는 사람이 없다. 왜 사람들은 타이타닉호를 기억할까 이는 사람의 머릿속에 남을 만한 스토리 때문일 것이다. 많은 저명인사, 부자 승객의 증언들, 생존한 사람들의 입에서 나온 이야기가 있을것이다. 영화도 이 침몰의 극적인 순간을 기억하게 만든것도 있다. 완벽한 세상에서라면 정보의 중요성이 그 정보 전달자의 스토리텔링 능력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가 사는 이 세상 사람들은 쉽게 지루함을 느..

경제 이모저모 2024.06.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