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 이모저모 208

쉬는 청년이 많아지는 이유(feat. 경제가 우리에게 주는 영향력)

쉬는 청년이 많아지는 이유(feat. 경제가 우리에게 주는 영향력)쉬었음 청년2024년 9월 통계청 발표 자료에서 15세 ~ 29세 청년 46만명이 일하지 않고 쉬고 있는것으로 나왔다. 이 통계가 처음 나온것은 2003년인데 그 당시에만 해도 20만명이었다. 20년 동안 쉬는 청년이 2배로 늘어난것이다. 그런데 더 큰 문제가 있다. 20년전과 비교하며 청년인구는 반으로 줄었다. 청년 인구는 반인데, 쉬는 청년은 2배로 늘어난것이다. 사실상 4배로 쉬는 청년이 늘어난 효과이다. 난 쉬고 싶지 않았다쉬는 청년이 급증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채용 환경이 열악해졌다. 정규직과 1년 이상 계약직을 합친 일자리를 상용직이라고 한다. 즉 이에 해당하지 않으면 계약직이나 일용직이라고 한다. 최근 상용직 고용은 10년만에..

경제 이모저모 2025.01.15

인간은 가난하도록 만들어진 불량품이다.

인간은 가난하도록 만들어진 불량품이다. 무리짓는 행위는 인간에게 필수였다.인간은 무리짓고 살아야 생존이 가능했다. 과거 원시 시대에는 인간이 현대 사회 인간보다 더 외소했다. 오스트랄로피테쿠사, 호모 에렉투스 같은 경우 키가 1m~1.2m 남짓이었다. 현재 초등학생 수준의 키이다. 이런 인간은 힘이나 강한 발톱도 없었기에 생존을 위해서는 무리짓고 살아야했다. 무리짓고 사는 것은 이득이 크다. 동물을 사냥하여 식량을 얻을 가능성이 올라가고, 맹수를 만나도 몇명의 피해가 있을수 있지만 무리의 대부분은 생존을 한다. 무리에서 쫒겨난 원시인은 사형선고나 다름이 없다. 혼자서는 맹수를 상대할수 없으며, 사냥에 성공할 가능성도 매우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 시절 가장 강한 개인은 힘이 세고, 사냥을 잘하는 자 였을 ..

경제 이모저모 2024.12.15

사람을 쉽게 설득하는법 (feat. 사실보다 강력한 스토리의 힘)

사람을 쉽게 설득하는법 (feat. 사실보다 강력한 스토리의 힘)사람은 객관적 정보로 움직일까약 1500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타이타닉호의 침몰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하지만 4000명이 사망한 1987년 도냐파스호의 침몰을 기억하는 사람은 없다. 2002년 감비아 부근 르줄라호에서 1800명이 사망한 사실도 아는 사람이 없다. 왜 사람들은 타이타닉호를 기억할까 이는 사람의 머릿속에 남을 만한 스토리 때문일 것이다. 많은 저명인사, 부자 승객의 증언들, 생존한 사람들의 입에서 나온 이야기가 있을것이다. 영화도 이 침몰의 극적인 순간을 기억하게 만든것도 있다. 완벽한 세상에서라면 정보의 중요성이 그 정보 전달자의 스토리텔링 능력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가 사는 이 세상 사람들은 쉽게 지루함을 느..

경제 이모저모 2024.06.04

리스크의 정의(feat. 불변의 법칙, 모건 하우절)

리스크의 정의(feat. 불변의 법칙, 모건 하우절)리스크의 정의우리는 위험을 대비 할수 있다고 생각한다. A,B,C의 대안을 생각하면 다가오는 리스크에 대비가 가능할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책 '불변의 법칙'에서는 리스크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당신이 모든 시나리오를 남김없이 고려했다고 생각한 후에 남는 것이 리스크이다.리스크의 정확한 정의가 아닐수 없다. 상상가능한 모든 위험에 대비 했다고 생각한 후에 남는것, 그것이 리스크이다. 위험은 대비가 가능한가사람들은 코로나 19를 예측했을까,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을 예측 했을까 단연코 아무도 예측하지 못했다. 2020년 1월 발간 에서는 코로나 19 펜데믹에 대한 언급은 단 하나도 없었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갈등과 전쟁 가능성에 대한 언급도 없..

경제 이모저모 2024.06.02

무엇을 하든 되게하라 (feat. 멘탈의 연금술, 보도섀퍼)

무엇을 하든 되게하라 (feat. 멘탈의 연금술, 보도섀퍼)세상을 냉철하게 보는게 중요할까긍정적 측면보다 부정적 측면을 습관적으로 파고드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늘 이렇게 말한다. 이 나이에 공부가 가당키나 한가지금처럼 가늘고 길게 가는 게 좋지일 못찾어 요즘엔 나 같은 사람 써주는데도 없어투자 웃기고 있네, 현금 들고 있는게 최고야습관적으로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는 사람은 믿는다. 자신은 있는 그대로 세상을 바라보는 리얼리스트라고, 낭만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것은 합리주의자들이라고 그런데 사실 이것은 위험한 생각이다. 긍정과 부정의 공존하는 곳이 이 세상이다. 보도섀퍼의 책 멘탈의 연금술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세상을 냉철하게 보는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를 크게 성장시키는 것은 현실에 대한 인식..

경제 이모저모 2024.04.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