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 투자/투자 원칙, 상식 63

TQQQ 투자 위험할 수 있는 이유 (feat. 나스닥 추종 ETF)

TQQQ 투자 위험할 수 있는 이유 (feat. 나스닥 추종 ETF ) 부자 되기 위해 공부하는 청년 헤일로입니다. 지난 10월 1일부터 19일까지 한국인 개인 투자자가 매수한 순매수 주식을 보면 TQQQ가 1위로 가장 높습니다. 나스닥 지수가 강하게 우상향 하는 시장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더 많은 수익을 위하여 나스닥 3배를 추종하는 지수를 공격적으로 매수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빅 테크 기업의 상승과 나스닥의 상승이 무섭기에 그 흐름에 동승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좋은 수익률을 기대할것으로 보이는 TQQQ에 투자 위험성도 있다는 것에 대하여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나스닥 추종 ETF X3 = TQQQ ETF라는 투자 상품은 분산 투자의 효과를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품 자체가 개별주보..

돈의 흐름 ( feat. 주식을 사야 하는 근본적인 이유 )

돈의 흐름 ( feat. 주식을 사야 하는 근본적인 이유 ) 부자 되기 위해 공부하는 청년 헤일로입니다. '세계 시장인 미국에 투자하면 안정적인 수익을 얻기 때문에, 평생 일만 하고 살 수는 없기 때문에', 같은 너무나 당연하고 직관적인 이유들도 많이 있지만 오늘은 돈의 흐름과 연관 지어 우리가 결국 주식을 사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오래된 농담 모닥불 앞에 2명의 경제학자가 있습니다. 곰이 숲에서 내려오는 것을 그 2명이 발견하였고, 한 명은 빠르게 운동화를 신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나머지 한 명은 먼저 뛰쳐나갔습니다. 신발은 신고 있는 경제학자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신발을 신지 않고 뛰면 곰보다 빠르게 뛸 수 없을 거요.' 먼저 뛰고 있는 경제학자는 말했습니다. '당신 보다만 ..

1억을 모으면 부자가 안될 수가 없는 이유 ( feat. 복리의 힘)

1억을 모으면 부자가 안될 수가 없는 이유 ( feat. 복리의 힘 ) 부자 되기 위해 공부하는 청년 헤일로입니다. 경제 시황, 주식 가격, 변동성에 대한 이야기를 최근에 많이 했습니다. 오늘은 아주 근본적인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복리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사실 투자를 함에 복리를 통한 이익의 극적인 상승이 있기에 투자가 가치 있는 것입니다. 그런 복리의 가장 중요한 요소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복리를 결정하는 2가지 요소 복리를 설명할때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요소는 수익률과 시간 입니다. 개인 투자자가 보통 주식투자, 부동산 투자 등 자산 투자를 할 때 몇 % 수익률이 나온다에 집중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수익률을 꾸준히 얻어 가며 돈을 불려 나가는 것에 의미가 있습니다. S&P 500의 지수가 ..

돈 못 버는 개인 투자자들의 공통점 ( feat. 장기 투자 )

돈 못 버는 개인 투자자들의 공통점 ( feat. 장기 투자 ) 부자되기 위해 공부하는 청년 헤일로입니다. 헝다 그룹 파산, 원자재 가격 상승, 미중 갈등, 페이퍼링, 금리 인상, 10년물 국채 상승, 디폴트등 최근에는 많은 이슈들이 개인 투자자들의 머리를 아프게 합니다. 주식 시장이 마냥 상승 할 것이라는 부풀은 기대를 안고 투자를 하는 개인 투자자들에게 주식은 역시 내가 할 것이 아닌가 라는 고민을 하게 만듭니다. 오늘은 주식 투자의 원론적인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바로 돈 못버는 개미 투자자들의 공통점입니다.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은 기업이 아니라 시장 상황이다. 주위에 주식 시작하는 많은 개인 투자자들을 보았고, 주식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을때 공통적으로 느끼는 점이 있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은 ..

주식 장기 투자 쉽다고 생각합니까

주식 장기 투자 쉽다고 생각합니까 부자되기 위해 공부하는 청년 헤일로입니다. 중국 헝다그룹 파산, FOMC 회의, 중국 코인 결제 중단 등 많은 사건이 지나간 9월입니다. 헝다그룹 사건도 마무리되지 않았고, 테이퍼링 이슈는 계속 투자자들을 들었다 놓았다 하고 있습니다. 요즘은 주식하기 참 어렵다고 생각되어지는 시기 입니다. 아직 9월이 끝나지 않았기에 또 어떤 일이 발생할지 예측을 할 수 없는 장세입니다. 2020 ,2021은 주식 시장의 분위기가 정말 좋았습니다. 하지만 그 좋은 시장에도 실질적으로 돈을 번 사람의 비율은 10% 남짓 입니다. 사실 안정적으로 시장의 흐름만 타도 돈을 벌 수 있는 시기인데 결과는 그렇지 못한것이 의아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주식 장기 투자로 돈벌기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