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366

통제하기 어려운 문제의 해법 (feat. 원칙,레이달리오)

통제하기 어려운 문제의 해법(feat. 원칙, 레이달리오)레이달리오의 원칙 중.. 문제 해결 과정.1.나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는 가장 똑똑한 사람들을 찾아서 그들의 생각을 이해하고 노력하라.2.의견을 밝히지 말아야할 때를 알아야한다.3.시간에 구애받지 않는 보편적인 원칙들을 개발하고, 시험하고 체계화하라4.큰 이익을 지키고 손실을 줄이는 방법으로 균형을 유비하라.레이달리오 원칙 중'나는 사람들의 가장 큰 약점은 가장 큰 강점의 또 다른 면이라는 것을 알게 됐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들은 너무 큰 위험을 감수 하난 경향이 있고, 어떤 사람들은 지나치게 위험을 회피한다. 또 어떤 사람들은 세부적인 것에 집중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큰 그림에만 집중한다. 대부분의 사람이 한쪽에만 치우쳐 다른 쪽을 충분히 보지 ..

경제 이모저모 2025.07.15

경제학과 졸업한다고 부자되지 않는 다(feat. 전문지식의 한계)

경제학과 졸업한다고 부자되지 않는다(feat. 전문지식의 한계)우리는 자본주의 시대를 살고 있다. 하지만 자본주의의 정의조차 배울 기회는 없다. 성장하면서 들은 소리라고는 열심히 해서 좋은 직장가지면 잘 먹고 잘살거라는 소리 뿐이다. 초중고 대학을 통틀어도 경제 용어 하나 설명하고 알려주는 곳이 없다. 우리는 그렇게 성인이 되고 사회에서 자본주의 살아남기를 한다. 그러면 이 자본주의를 배우는 대학 학과를 가면 아웃풋이 잘 나와야하는것이 아닐까 대표적인 경제학과 같은곳 말이다. 하지만 그런것 같지는 않다. 그 곳이 성공의 척도 였다면 지금처럼 '사'짜직업 공기업 같은 소위 철밥통이 인기 있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 이유에 대해서 고민하게 되었다. 지식은 두가지가 있다.지식은 두가지가 있다. 하나는 일반지식이..

카테고리 없음 2025.06.18

유일한 한계는 '당신이 마음속으로 정한 그것'이다

유일한 한계는 '당신이 마음속으로 정한 그것'이다.생각이 많아지는 한가지 구절만 쓸것이다.책 '생각하라 그리고 부자가 되어라' 에서 가져온 글이다.인생에서 1페니만 달라고 흥정했더니인생은 그 이상을 주려 하지 않았다.내 보잘것없는 수입을 헤아리며밤마다 아무리 애원해도.인생은 고용인에 지나지 않아서요구한 것만을 정확히 줄 뿐이다.한번 삯이 정해지고 나면어떤 일이든 견뎌내는 수밖에얼마 안 되는 삵을 받고 일하면서내가 한탄하며 깨달은 것은내가 인생에서 얼마를 요구하였단 간에인생은 기꺼이 주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경제 이모저모 2025.06.12

자존감과 소비의 관련성(feat. 자존감이 낮으면 과소비한다)

자존감과 소비의 관련성(feat. 자존감이 낮으면 과소비한다)마케팅의 타겟은 자존감 낮은 자이다.자존감은 외모나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도 영향을 많이 미친다. 자존감이 높으면 외모에 만족한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도 만족한다. 하지만 자존감이 낮다면 ' 나는 별 볼일 없는 사람이야'라고 생각한다. 즉 자존감은 자신의 가치를 평가하는 절대적인 기준이 된다. 그렇다면 자존감이 낮다면 나를 가치가 낮게 평가하게 되고 나를 멋지게 치장해줄, 나의 가치를 높여줄 물건에 집착하게 된다. 그리고 마켓팅은 정확히 그것을 타겟한다. 대기업의 마켓팅애플의 광고를 많이 본적이 있다. 애플은 자사의 물건을 광고할때 제품의 기능을 광고하지 않는다. 항상 그들은 이 물건을 착용함으로서 남들과 다른 가치를 가지게 된다 라는 이미지와..

경제 이모저모 2025.05.22

쉬는 청년이 많아지는 이유(feat. 경제가 우리에게 주는 영향력)

쉬는 청년이 많아지는 이유(feat. 경제가 우리에게 주는 영향력)쉬었음 청년2024년 9월 통계청 발표 자료에서 15세 ~ 29세 청년 46만명이 일하지 않고 쉬고 있는것으로 나왔다. 이 통계가 처음 나온것은 2003년인데 그 당시에만 해도 20만명이었다. 20년 동안 쉬는 청년이 2배로 늘어난것이다. 그런데 더 큰 문제가 있다. 20년전과 비교하며 청년인구는 반으로 줄었다. 청년 인구는 반인데, 쉬는 청년은 2배로 늘어난것이다. 사실상 4배로 쉬는 청년이 늘어난 효과이다. 난 쉬고 싶지 않았다쉬는 청년이 급증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채용 환경이 열악해졌다. 정규직과 1년 이상 계약직을 합친 일자리를 상용직이라고 한다. 즉 이에 해당하지 않으면 계약직이나 일용직이라고 한다. 최근 상용직 고용은 10년만에..

경제 이모저모 2025.01.15
반응형